이번글은
필자가 좋은 강의라고 생각하는
뉴욕보컬코칭( New York Vocal Coaching)
의 강의 영상 정리, 분석, 의견 글입니다
강의는
https://youtu.be/jNYw5HkWMBk?feature=shared
입니다
글의 순서는
1. 강의 내용 정리
2. 강의 내용 분석과 견해
입니다
1. 강의영상 내용 정리
영상의 내용을 흐름대로 정리한 것입니다비유적 표현이나 유머적으로 표현한 부분이 있어글로만 보면 이해가 어려울 수 있으니영상을 참고 바랍니다
1) 개요
저스틴 스토니(강의자)는
연구개를 올리는 것이후두를 억압하고비인두의 공간을 잃게 만든다는 점을 강조하며
올바른 발음 기술을 통해 더 나은 소리를 만들 수 있음을 전합니다.
최종적으로,연구개를 내려야 한다는 주장을 통해 목소리 훈련의 새로운 관점을 제공합니다.
2)영상 내용 요약
1. 🎤 연구개와 비강 공명의 역사 및 중요성
뉴욕 보컬 코칭의 저스틴 스토니는 연구개를 올리는 것에 대해 이야기하며,
아르헨티나의 마리엘라의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많은 보컬 선생님들이 연구개를 올려 고음을 낼 수 있다고 가르치는 것은 잘못된 믿음일 수 있다.
과거에 비강 공명과 '링'의 가치가 무시되면서,
많은 전통적이고 효과적인 보컬 테크닉이 사라졌다는 역사적인 맥락을 강조한다.
연구개가 비강을 막고자 하면서, 건강한 목소리가 '링' 대신 '힘'에 굴복하게 되었다고 설명한다.
그러나 '링'의 중요성을 재발견하여비강 공명이 다시 보컬 훈련에서 중심을 찾을 것이라는 기대가 있다.
2. 🎤 연구개와 고음 발성의 오해
많은 선생님들이 고음을 내기 위해연구개를 올리라고 조언하지만, 이는 잘못된 정보이다.
연구개는 입 천장의 뒤쪽에 위치한 구조물로, 음식물을 삼킬 때 고개를 뒤로 젖히면 올라가며
비강으로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노래하는 사람들은콧소리를 싫어하지만, 이 소리는 비강이 아니라 후두에서 발생하는 것이다.
사람들이 고음을 부를 때 후두를 지나치게 높이면서 성대를 긴장시키는 경향이 있다.
연구개와 후두는 분리되어 조절할 수 있으며, 연구개를 올릴 필요는 없다.
연구개를 약간 내리면서도 콧소리를 방지할 수 있다.
3. 🚫 연구개를 올림의 문제점
연구개를 올리면후두가 짓눌려 후두의 원활한 활동이 방해된다.
연구개를 올리게 되면, 인두의 세 공간 중 하나를 잃게 되어 노래하는 데 필요한 공간이 줄어든다.
비 인두를 사용하지 않게 되며, 이는 특정 소리의 생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소리를 앞으로 뽑아내기 위해 연구개를 올리지 않아야 하는데, 그렇지 않으면 소리 위치의 조정이 불가능하다.
연구개를 올리면 혀를뒤로 빼고 누르는경향이 생겨 한계를 만든다.
4. 🎶 연구개 조절의 이점
연구개를 내리면 고음을 내는 것이 수월해지며, 소리가 비강으로 전달되어유연성이 더해진다.
후두의 위치 조절이 쉬워져 후두가 자유로워지며, 이는 여러 장르의 음악을 소화할 수 있는 능력을 증가시킨다.
비강을 활용하면 다양한 장르를 넘나들 수 있게 되고, 후두의 자유로움은 곧장르의 자유로움이다.
비강으로 소리를 보내면 '링'의 질감이 목소리에 더해지며, '링'은 모든 스타일에서 필요한 질감이다.
인두의 공명과 비강 공명의 균형이 잘 이루어지면 결과적으로 훌륭한 소리가 생성되며,
연구개를 내리면 비강 공명을 얻게 된다.
5. 🎤 비강 공명을 통한 연구개 훈련
훈련은 간단한허밍을 통해 진행되며, 비강으로 가는 길이 열린다.
올라간 연구개로는 허밍이나 M 소리를 내기 어려우므로, 비강 공명의 느낌을경험해보는 것이 중요하다.
연습 과정에서 참가자들은 함께 허밍을 하여 연구개를 무찌르는 성과를 얻는다.
훈련 후 참가자들은비강 공명의 효과를 느끼게 되며, 연구개와 목소리의 관계를 이해하게 된다.
성악과 대중가요를 하는 사람들에겐 연구개를 다시 올릴 위험이 있으나, 그날은 아직 오지 않았다는주장이 제기된다.
2. 강의 내용 분석 및 개인적 견해
강의 내용의 결론을 개인적으로 내린다면
다양한 보컬 코칭에서 말하는
'연구개를 들어라' 라는 말은 잘못되었을 수 있다
입니다
연구개는 입천장의 뒤 쪽의 말랑한 부분으로
연구개가 위로 올라가면 코로 나가는 바람을 막습니다
여러 보컬 강의에서
연구개를 들어야한다는 강의가 많습니다
필자도 많이 보았고 실제로 시도도 많이 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효과를 전혀 보지 못했습니다
다른 글에서도 이야기 하지만
보컬에서 같은 소리를 내기 위해서 느끼는 감각은
사람마다 다릅니다
마치 특정 훌륭한 보컬리스트들이
연구개가 들린다고 느끼고
그 감각을 공유한 것이
현재의 그러한 강의들은 만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강의에서는
억지로 연구개를 움직이려는 시도가
오히려 후두의 움직임을 방해하고
링 사운드를 낼 수 없게 한다고 주장합니다
필자는 공명에 대한 글에서
공명을 트왱과 링으로 나누었습니다
링은 혀 뒤쪽의 근육이 입의 공간을 좁히면서
성문 상압을 얻게 해줍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글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2024.03.02 - [삶/발성과 노래] - 발성 과학 이론 - 비강 공명, 트왱(Twang), 링, 성문상압
발성 과학 이론 - 비강 공명, 트왱(Twang), 링, 성문상압
이번 글은 보통 유투브에서 비강공명이라고 불리는 트왱과 링에 대하여 이야기하고자 합니다 글의 순서는 1. 비강 공명, 트왱, 링 2. 성문 상압과 성문하압 3. 비강공명의 유무와 보컬 spectrum 입니
musics.tistory.com
링 사운드를 실제 사용하면
발음마다 다르지만 약 1500-2000Hz 사이의
공명된 소리의 증폭을 가져옵니다
이를 가져가면 버징사운드(윙윙 거리는 벌레 날개소리)가 생깁니다
그리고 성문 상압으로 인해
고음역에서 성대의 접촉이 쉬워집니다(음역 상승에 도움을 줌)
링은
개인적인 견해로
좋은 발성으로 가기 위해
일정이상은 필수라고 생각합니다
훈련 방법은
영상에서 소개한 바와 같습니다
입을 닫고
M발음(음)
으로 허밍을 합니다
코로 나오는것은 신경쓰지 않습니다
개인적으로 코칭을 할 때는
M을 가능한 진하게 하라고 지도합니다
사람마다 느끼는 감각이 다르지만
턱쪽이나 혀쪽에 힘이 잡히는 것을 느끼는 경우가 많습니다
가장 중요한건 버징사운드로
자글자글한?
웅웅거리는?
소리가 난다면 제대로 내는 것이 맞습니다
그 소리를 평소 말이나 가창에 적절히 사용하는 것이
링사운드는 활용하는 방법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뉴욕보컬코칭의 강의를
요약 분석하였습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삶 > 발성과 노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투브 발성 강의 분석-반폐쇄 성도발성(SOVT)에 대한 강의, 뉴욕보컬코칭 (1) | 2025.01.27 |
---|---|
유투브 발성 강의 분석-트왱(Twang)에 대한 강의, 뉴욕보컬코칭 (0) | 2025.01.22 |
노래와 발성 독학하기-발성의 요소와 지향점, 좋은 트레이너의 조건 (0) | 2025.01.20 |
발성과 노래-말하듯 노래하세요. 의미와 방법, 오류에 빠지는 이유, 발성과 노래의 괴리 (0) | 2024.05.25 |
발성 과학 이론 - 비강 공명, 트왱(Twang), 링, 성문상압 (2) | 2024.03.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