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글에서는
인공감미료로 유명한
MSG에 대하여
이야기하고자 합니다
글의 순서는
1. 감칠맛, MSG란?
2. MSG에 대한 오해
입니다.
1. 감칠맛, MSG란?
1) 감칠맛
예전에 사람이 느낄 수 있는 맛은
단맛, 쓴맛, 신맛, 짠맛으로 이야기 되었습니다
(매운맛은 통각으로 봅니다)
1908년 일본의 화학자인
카이네 아키타가 처음으로
감칠맛이라는 개념을 제시합니다
보통 감칠맛의 정의는
맛의 깊이와 풍미를 의미합니다
음식 중에
육류, 해산물, 발효식품 등에서
느낄 수 있습니다.
감칠맛을 만드는 요인은
단백질의 성분인 아미노산 입니다
그래서 단백질이 분해되는 조리과정은
감칠맛을 높힙니다
2) MSG란?
MSG는
MonoSodium L-Glutamate
의 약자입니다
간단히 설명하면
하나의 나트륨이 달라붙은 글루탐산
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글루탐산은 아미노산의 일종입니다
아미노산은 단백질을 구성 성분입니다
위에서 설명드린 것처럼
MSG는 아미노산의 일종이기 때문에
감칠맛을 낼 수 있습니다
MSG는 자연의 상태에서도 존재합니다
보통
다시마, 육류, 토마토, 버섯, 치즈 등에
들어 있습니다
보통 우리가 감칠맛이 있다고하는
식재료들 입니다.
2. MSG에 대한 오해
MSG를 먹으면 몸에 해롭다는 의견이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
가정주부들도 그렇게 알고
사용량을 줄이기 위해 노력하거나
사용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위에서 설명한대로
자연식품에도 존재하고
조리과정에서 단백질이 분해되면
MSG가 나옵니다
또한 논란이 많았던 만큼
많은 기관에서 테스트하여
미국의 FDA나 WHO
한국의 식약청에서도
인체에 무해하다고 판명이 나있습니다
물론 이 기관들의 통보를 믿지 않으실 수 있으나
최소한 현재까지는 몸에 해롭다는 증거는 없습니다
또한
먹은 개체가 50%사망하는 투여량인
반수 치사랑이
소금보다 낮습니다
이 말인즉
같은 량을 먹으면
소금이 죽을 확률이 더 높다고
해석이 가능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감칠맛과 MSG
그 오해에 대하여
이야기하였습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과학 > 생활과 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활과 과학-태풍에 대하여, 위험반원, 안전반원 (0) | 2023.08.10 |
---|---|
생활과 과학-질량과 무게 (0) | 2023.07.08 |
생활과 과학-저탄고지(LCHF)다이어트의 기본 원리, 인슐린의 작용, 혈당과 다이어트 (0) | 2023.05.07 |
생활과 과학-스테이크 굽기, 굽기 정도에 따른 온도와 시간, 마이야르 반응, 스테이크 레스팅 시간, 심부온도 (0) | 2023.03.11 |
생활과 과학-불, 빛은 고체, 액체, 기체 중에 무엇일까?, 빨간불꽃과 파란불꽃의 차이 (1) | 2023.02.15 |
댓글